고양이와 함께 생활하면서 급식 외에도 가장 신경 써야 한다는 고양이 화장실. 그중에서도 고양이 화장실에 주재료인 모래의 종류,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고양이가 집에 와서 꼬리를 바짝 들고 엉덩이를 씰룩거리면서 한두 바퀴 제자리를 뱅글뱅글 돌다가 땅을 파는 시늉을 한다면 분명 화장실을 찾고 있는 것입니다. 이럴 때 미리 준비된 고양이 화장실에 데려다주면 냄새를 맡고는 바로 배변활동을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고양이 화장실 모래에 대한 상식을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 모래 종류와 단점>
1. 벤토나이트 모래
고양이를 키우는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래입니다. 진짜 모래와 가장 흡사해서 자연에서 용변을 보는 느낌이라 고양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모래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점 - 실제 모래와 비슷한만큼 먼지 날림과 사막화가 잘 일어납니다.
주의사항 - 먼지 날림으로 인해 고양이 기관지염이나 결막염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먼지 날림과 사막화를 줄여주는 다른 제품과 섞어서 사용하면 많이 좋아집니다.
2. 두부 모래
벤토나이트 사막화의 단점을 보안하고자 만들어진 모래로 콩비지로 만들어져서 친환경적입니다. 입자가 커서 고양이 발바닥에 묻어 나오지 않아 인간 위주로는 좋은 제품이나 단단하고 뾰족한 두부 모래의 특성상 고양이 발바닥 젤리에는 상처를 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물에 쉽게 녹기 때문에 화장실 변기에 바로 버리는 것으로 처리가 쉽습니다.
단점 - 배설물이 둥글게 뭉쳐지긴 하지만 부서짐 또한 쉽습니다. 입자가 큰 경우에는 고양이 발바닥에 통증을 주어 고양이가 화장실 모래를 거부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주의사항 - 부서짐을 예방하기 위해 단단하게 뭉쳐질 수 있는 다른 제품과 섞어 쓰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 발바닥 젤리에 손상이 되지 않도록 입자가 고운 두부 모래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장실에 바로 버리면서 처리하기 쉬운 반면 너무 큰 경우에는 화장실이 막힐 수 있으므로 충분히 녹여서 물을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
3. 펠렛 모래
'우드펠렛'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가루형 목재가 압축된 형태입니다. 먼지 날림이 적고 저렴한 가격에 많은 분들이 선호하십니다.
단점 - 우드의 특성에 따라서 소변의 경우 뭉쳐지기보다는 부서지는 특성이 있어서 화장실을 정리할 때 절 걷어내야 합니다.
주의사항 - 밑에 거름망이 있는 화장실을 선택해야 합니다. 소변의 경우 거름망 아래로 내려가서 따로 걷어낼 것은 없지만 대변은 뭉쳐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화장실 삽은 필수품입니다. 간혹 변기에 바로 버릴 수 있다고 사용설명서에 표시되어 있다면 펠렛의 경우에는 변기에 흘려보내는 방법으로 처리하셔도 됩니다.
4. 실리카겔 모래
습기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실리카겔을 이용한 모래입니다. 크리스털이란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가벼운 실리카겔의 특성으로 전체 갈이를 하더라도 힘들지 않습니다. 소변 상태에 따라서 실리카겔의 색이 변화되는 제품들도 있다 보니 고양이 건강을 체크하기 좋은 제품입니다.
단점 - 뾰족하고 아픈 느낌이라 고양이들이 싫어해서 화장실 거부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응고력이 다소 약해서 걷어낼 때 부서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고양이 화장실 전체 갈이>
고양이 화장실은 2~3주 간격으로 전체 갈이를 하도록 권유하고 있습니다. 다묘 가정의 경우 보통 1~2주 간격을 유지하도록 권유합니다. 고양이는 후각이 예민한 동물인 만큼 화장실은 자주 청소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냄새를 잡아주는 두부 모래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전체 갈이는 필수입니다. 고양이 모래의 재질에 따라서 버리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폐기물 쓰레기봉투 - 벤토나이트, 실리카겔
일반 종량제 봉투 - 두부 모래, 우드펠렛 등
전체 갈이의 경우에는 고양이 화장실의 전체 모래를 버리고 새 모래로 교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폐기물 처리는 지차제의 기준이 다른 만큼 미리 알아보시고 처리하면 됩니다. 전체 갈이를 하실 때는 바닥에 묻은 소변으로 냄새가 다시 날 수 있으니 반드시 화장실도 물로 세척하고 말린 뒤에 새 모래로 채워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 화장실 용어>
1. 사막화
고양이는 배변 활동 후에 모래나 흙으로 덮어서 냄새를 없애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고양이 화장실은 모래와 같은 성분들로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때 배변 활동을 마치고 뛰쳐 나오면서 발바닥에 묻은 모래가 화장실 주변에 흩뿌려지면서 마치 사막의 모래밭 같은 모습이라 이렇게 부릅니다.
2. 감자
고양이 소변이 모래와 만나면서 둥글게 뭉쳐지는데 이 모습이 마치 흙속에서 캐낸 감자같은 모습이라 이렇게 부릅니다. 보통 화장실을 청소해 주면서 "감자 캔다"라는 표현을 하는데 바로 고양이 소변 덩어리를 치워준다는 의미입니다.
3. 맛동산
고양이 대변에 모래가 붙으면서 과자 맛동산의 모습과 비슷해서 이렇게 부릅니다. 후각이 발달한 고양이는 적에게 배변 냄새로 자신의 위치가 노출 될 것을 꺼려하는 만큼 하루 2회 이상 화장실을 청소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4. 전체갈이
고양이 화장실의 모래를 전부 버리고 새로 부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2~3주에 한 번은 전체 갈이를 해주어야 합니다.